본문 바로가기

진화심리학3

성격의 개인차에 대한 진화심리학 성격의 개인차에 대한 진화심리학 진화의 과정에서 개인차는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특히 성격이 사람마다 다른 것은 어떤 진화적 요인에 의한 것일까? 개인차의 기원에 대한 진화심리학의 설명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개인차는 개체매다 각기 다른 적응환경과 대처하기 위한 적응방략의 차이로 인해서 필연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둘째 개인차는 적응방략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적응기제와 함께 연결된 우연한 부산물로 생겨난 것이다. 셋째 개인차는 돌연변이와 같은 우연적 요인에 의해서 생겨난 노이즈에 의한 것으로서 자연선택에 의해 도태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차는 종의 전반적 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우연한 변이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진화심리학자들은 개인차를 .. 2023. 8. 6.
남자와 여자의 차이에 대한 진화심리학 남자와 여자의 차이에 대한 진화심리학 진화심리학의 커다란 공헌 중 하나는 남녀 차이에 주목하게 만든 것이다. 진화과정에서 남자는 먹이를 수집하고 위협을 물리치는 사냥꾼과 전사의 역할을 담당한 반면 여자는 자녀를 낳아 기르는 양육자의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성역할이 남자와 여자의 성격특질과 행동패턴의 차이를 유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자는 생존을 위한 것이든 번식을 위한 것이든 투쟁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공격적이어야 성공할 수 있었다. 반면에 여자는 싸움에서 이기는 짝을 선택하고 그 짝의 부양과 보호를 받으며 자식을 낳아 기르면 되므로 수동적이고 온순해야 번식에 성공할 수 있었다. 공격성은 남녀차가 일관성있게 나타내는 심리적 특성 중 하나다. 전반적으로 남자는 여자에 비해서 더 공격적이다. 최근의 연구에.. 2023. 8. 5.
진화심리학과 성격 진화심리학과 성격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심성을 인류의 조상들이 적응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직면했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진화해 온 심리적 적응의 산물이라고 본다. 진화심리학의 목표는 인간이 진화해 온 심리적 적응의 기제(mechanism)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적응의 기제가 바로 인간의 심리적 본성이기 때문이다.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에 대해서 ‘어떻게’라는 물음보다 ‘왜’라는 물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통적 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라는 물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이 왜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가? 왜 이러한 심리적 구조와 작동방식을 갖게 되었는가?”라는 물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진화심리학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핵심적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2023. 8. 4.